앞으로 세상은2017. 7. 5. 10:58
728x90

스마트 팩토리가 화두다. 관련 글을 한 번 썼지만('노동자에게 진정한 위협은 스마트 팩토리'http://largesea.tistory.com/327), 4차 산업혁명 중 가장 안 드러나면서도 우리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스마트 팩토리다.

 

 

스마트 팩토리에서 가장 앞선 나라는 독일이다. 독일에서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의 핵심이 독일이다. 제조업 강국인 독일이, 그 제조업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 IT 기술을 접목하려는 것이다. 저가 생산으로 갈 수 없는 선진국의 제조업이 살아남는 방법을 모색중이다.

 

 

일본은 기업 중심으로 생산성 향상과 인력 대체에 초점을 맞추어서 추진중이다. 인구고령화 등으로 노동인력이 부족한데, 이를 메꾸기 위해 공장자동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인구 문제와 연관시켜 추진한다는 점이 다른 나라와 좀 다르다. 이민정책을 펴지 않는 선진국에서 노동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선택한 것이다.

 

 

미국은 앞선 IT 기술을 활용해서 제조업을 첨단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독일이 제조업에 중심을 두고 IT 기술을 받아들이는 쪽이라면, 미국은 IT 기술의 활용 측면에서 스마트팩토리를 새로운 시장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팩토리의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제공 쪽에 관심이 많다.

 

 

이렇게 선진국 3국이 각각 자신의 입장에서 조금씩 다른 스마트 팩토리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한국은?

 

 

늘 그랬듯이 정부주도형 스마트팩토리 정책을 펴고 있다. 정부에서 목표를 정하고, 이를 각 기업에 전파하여 끌고 가는 형태다.

 

 

재밌는 건, 한국에서 스마트팩토리 정책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라... 필요한 건 맞다. 대기업은 자기들이 알아서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고 간주하니까.

 

 

그런데 스마트팩토리가 한 두 푼 드는 것도 아니고, 충분한 노하우와 경험도 필요한데 중소기업에는 이런 기반이 없다. 그래서 중소기업을 지원해야 하는 필요성은 크다.

 

 

문제는 효율성이다. 한정된 예산으로 중소기업에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자고 나서면 결국 나눠먹기 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

 

 

스마트팩토리를 크게 4단계로 구분하는데, 선진국에서는 이미 4단계 움직임을 보인다. 4단계는 옵티마이즈드팩토리로서,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서 수요예측-생산결정-생산 까지 할 수 있는 단계이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현재 수준은 일반적인 자동화도 잘 안되어있는 상태이다. 이걸 스마트팩토리로 끌어올리려고 하면 2단계 정도까지나 겨우 가능할 것이다. 2단계는 커넥티드팩토리 라고 해서 공장과 공장을 연결하는 수준이다.

 

 

4차산업혁명이 중요하다고 하니, 이걸 정책으로 추진은 해야하는데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에 묻어서 같이 하면 좋겠다는 발상에서 나온 것이 한국의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정책일 가능성이 크다.

 

 

최신 트렌드를 명분으로 달아야 정부가 일하기도 좋고, 포장하기도 좋으니까. 하지만 그 결과는 아마도 용두사미형이 되거나. 기존의 자동화를 좀 더 가속화시키는 정도에 불과할 가능성이 크다.

 

 

더 중요한 건 한국의 스마트팩토리 정책이 수요자 중심이라는 것이다. 독일, 미국은 공급자 중심 스마트팩토리 전략이다. 공급자 중심이라는 것은 스마트팩토리의 산업표준을 만들고 원천기술 등을 팔아먹겠다는 것이다.

 

 

한국이 공급자가 되기에는 많은 능력이 부족한 현실이지만, 이대로 정책을 펴게 되면 계속해서 정부가 외국의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사와서 민간에 뿌려주는 일만 하게 된다. 그러면 된건가?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올라가니 정부는 할 일을 다한 건가?

728x90
Posted by samworld